진료시간안내
- 월/화 오전9시30분 ~ 오후7시
- 수/금 오전9시30분 ~ 오후8시
- 토요일 오전9시30분 ~ 오후2시
♠ 목요일.일요일, 공휴일 휴무
점심시간 오후 1시~오후2시 (토요일 점심시간 없이 진료)
전화 연결은 안내된 진료시간안에 가능합니다.
건강한 삶이 아름답습니다.
코디성형외과피부과가 함께 하겠습니다.
♠ 목요일.일요일, 공휴일 휴무
점심시간 오후 1시~오후2시 (토요일 점심시간 없이 진료)
전화 연결은 안내된 진료시간안에 가능합니다.
031-631-0310
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
암 진단 후 사망 위험 24% 뚝 떨어뜨린 '이 방법'
美 암학회, 암 생존자 3,742명 평균 15.6년 추적 관찰
생활 습관 잘 지킨 그룹은 사망 위험 24% 하락
암 진단 후 생활 습관 개선 시작해도 생존율 상승
미국 암학회(american cancer society)가 제시하는 암 생존자 생활 가이드라인을 따르면 사망 위험이 24%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. 여러 사망 요인 중 심혈관 질환의 사망 위험은 33%나 낮아졌다. 또한, 암 진단 전부터 생활 관리를 해온 사람뿐 아니라 암 진단 이후에 생활 관리를 시작한 경우에도 생존율이 상승해 생활 습관 개선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.
미국 암학회는 암 생존자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분야별 정보를 안내한다. 여기서 '암 생존자'란 암 치료 환자, 암 완치자 등 암 진단을 받은 후 생존 중인 모든 사람을 포함해 지칭하는 말이다. 해당 지침은 2022년에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되었고, 미국암학회(acs) 소속 잉 왕 박사 연구팀은 비만 관련 암 생존자가 해당 생활 지침을 따랐을 때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추적 분석했다.
연구팀은 1992년부터 2002년 사이에 △유방암 △대장암 △자궁내막암 등 비만 관련 암 13종을 진단받은 비흡연자 3,742명을 대상으로 평균 15.6년에 걸친 추적 조사를 진행했다.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7.6세였다.
연구팀은 미국암학회가 제시한 암 생존자 생활 습관 가이드라인을 얼마나 잘 지켰는가에 따라 연구 대상자의 △음주 △신체활동 △식단 같은 항목을 0~8점으로 계산했다. 이후 사망 위험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, 가이드라인 점수가 6~8점인 최상위 그룹은 0~3점인 최하위 그룹에 비해 전체 사망 위험이 24%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
구체적인 사망 요인 별로 살펴보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33%, 암 관련 사망 위험은 21%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 특히, bmi와 신체활동 점수가 높을수록 사망률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, 이는 암 생존자 건강에서 체중 관리와 규칙적인 운동이 핵심적인 요인임을 시사한다.
또한, 암 진단 전후로 꾸준히 가이드라인 점수 5점 이상을 유지한 모범 그룹은 사망 원인을 가리지 않고 사망 위험이 가장 낮았다. 흥미로운 점은 암 진단 후 생활습관을 개선해 높은 점수를 받게 된 생존자들의 사망률도 뚜렷하게 낮아졌다는 점이다. 이는 진단 시점 이후의 행동 변화만으로도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.
논문의 제1 저자인 잉 왕 박사(dr. ying wang)는 "암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더 건강하게 살기 위한 방법을 찾기 시작한다"며 "이번 연구는 그러한 생활 습관 선택이 단순한 기분 전환이나 보조요법이 아니라 실제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준다"고 설명했다.
이번 연구 결과('암 생존자를 위한 미국암학회 가이드라인 준수가 비만 관련 암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', following the american cancer society guideline for cancer survivors and obesity-related cancer survival)는 2025년 4월 국제 학술지 '미 국립암연구소 저널(jnci)'에 게재되었다.